윈도우10으로 넘어가게되면서 기본적으로 백신 및 보안기능이 강화되었습니다. 이렇게 강화된 보안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끄기 설정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v3, 알약, 아비라, 노턴바이러스 등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윈도우10 디펜더 기능을 꺼야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필자 처럼 기본에 충실하고싶으시다면 윈도우10 디펜더를 켜기 상태로 해놓은것도 좋습니다.
윈도우10 디펜더 켜기
1) 일반적으로 윈도우 디펜더를 키게 되면 자잘하게 컴퓨터에 이것저것 설치가 안되어서 좋습니다. 업체에서 제작된 프로그램을 설치하게되면 함께 설치하는 제휴프로그램들이 많아서 전 싫었습니다.
그래서 일단 윈도우 디펜더를 켜야될텐데요, 순서는 시작메뉴 -> 설정을 선택해보도록 합니다.
[ads-m1]
2) 그 다음으로는 업데이트 및 보안 설정을 선택합니다.
3) 보안 설정 메뉴에 들어가게되면 윈도우 업데이트 바로 아래쪽에 Windows Defender 라고 보일겁니다. 클릭해서 선택하게되면 오른쪽 화면에 윈도우 디펜더 보안 센터 열기가 나타나게 됩니다. 클릭해볼께요.
4) 그리고 나서 최신 작업 및 검사 결과 수신 부터 시작해서 보이는건 모두 ‘켜기’로 바꿔놓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설정’을 선택해야 됩니다.
5) 그럼 세부적인 정보가 더 나타나게 됩니다. 맬웨어를 찾고 디바이스에서 설치되거나 실행하는 것을 방지시켜주는 실시간 보호 정책을 켜놔야 됩니다.
그리고 아래쪽에 클라우드 전송 보호도 또한 켜놓으셔야 됩니다. 클라우드에 있는 최신 윈도우 디펜더 바이러스 백신 보호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여 보호를 강화하고 가속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6) 마지막으로 제일 중요한것이 있는데요, 바로 시스템 구성에서 윈도우 디펜더와 관련된 프로세스를 윈도우10 시작과 동시에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해줘야 됩니다.
방법은 윈도우키 + msconfig 입력 후 엔터를 눌러줍니다. 그럼 화면처럼 시스템 구성이 나타나게 되는데요, 여기서 윈도우 디펜더와 관련된 내용을 모두 체크해준 후에 확인 및 적용을 눌러줍니다.
그럼 이제부터는 윈도우10 디펜더가 켜져 있는걸 확인할 수 있고, 이제부터는 안전하게 자신의pc를 보호하고 맬웨어나 악성코드 등을 감지할 수 있게 됩니다.
더욱 더 안전하게 자신의pc를 관리하는것이 사용자의 책임이라고 생각됩니다. 어느 누가 관리해주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이런것들은 찾아서 신경써줘야 됩니다.